카테고리 없음

국내 ETF vs 해외 ETF, 뭐가 다를까?

재테크 한 스푼 2025. 4. 18. 22:39

 

ETF를 검색하면 이런 이름이 보여요:

  • KODEX 200 (국내)
  • TIGER 미국S&P500 (국내)
  • VOO, QQQ, SPY (해외)

다 같은 ETF 같은데, 무엇이 국내고, 무엇이 해외일까요?

1. 어디에서 거래하나요?

  • 📈 국내 ETF: 한국 증권 거래소에서 거래 (KODEX, TIGER 등)
  • 🌎 해외 ETF: 미국 증권 거래소(NYSE, 나스닥 등)에서 거래 (VOO, QQQ 등)

👉 국내 ETF는 원화로 사고팔고, 해외 ETF는 달러로 환전 후 거래해야 해요.

2. 어떤 자산에 투자하나요?

  • 🇰🇷 국내 ETF도 해외 자산에 투자할 수 있어요
  • 예: ‘TIGER 미국나스닥100 ETF’는 국내 상장됐지만 미국 기업에 투자
  • 🇺🇸 해외 ETF는 미국 상장 기업, 채권, 리츠 등 현지 자산 직접 투자

👉 ETF가 어디에 상장됐는지와, 무엇에 투자하는지는 서로 다를 수 있어요.

3. 세금은 어떻게 다를까요?

✅ 국내 ETF

  • 📈 매매차익: 비과세 (주식처럼 세금 없음)
  • 💰 배당소득: 15.4% 배당소득세

✅ 해외 ETF

  • 📉 매매차익: 22% 세금 부과 (기본공제 250만 원 초과 시)
  • 💵 배당소득: 미국 원천징수 10% 부과

👉 국내 ETF는 세금이 적고 간단하지만, 해외 ETF는 수익이 크면 세금 부담이 더 클 수 있어요.

4. 환율 영향을 받을까요?

  • 💱 해외 ETF는 달러로 거래되므로 환율에 직접 영향
  • 📉 환율이 떨어지면 → 수익 줄어듦
  • 📈 환율이 오르면 → 이익이 커질 수도 있음
  • 🇰🇷 국내 ETF 중 ‘환헤지 상품’도 있음 (환율 영향 적음)

👉 환율을 잘 모르겠다면, 국내 상장된 해외 ETF(환헤지 포함)를 선택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에요.

5. 어떤 걸 선택하면 좋을까요?

📌 국내 ETF가 좋은 경우

  • 🧠 세금 걱정 없이 간편하게 투자하고 싶을 때
  • 📱 한국 증권사 앱으로 쉽게 거래하고 싶을 때
  • 💸 달러 환전이 번거롭거나 어려울 때

📌 해외 ETF가 좋은 경우

  • 💼 미국 시장 중심으로 직접 투자하고 싶을 때
  • 📊 배당주 중심의 장기 투자를 원할 때
  • 💰 다양한 상품(리츠, 원자재, 글로벌 섹터 등)에 직접 접근하고 싶을 때

6. 마무리

국내 ETF와 해외 ETF는 비슷해 보이지만, 세금, 거래 방식, 환율 리스크 등 중요한 차이가 있어요.

처음에는 국내 ETF로 연습해보고, 익숙해지면 해외 ETF로 확장하는 것도 좋은 전략이에요 😊

다음 편에서는 “섹터 ETF란?”을 주제로 반도체, 2차전지, AI 관련 ETF 투자 방법을 소개해드릴게요!

반응형